'미솔시레파'
낮음음자리표 '솔시레파라'
가운데 C 가 '도'
높은음자리표와 낮음음자리표의 '도'
근데 4분의 4박이아니라
4분음 4박입니다 .. ㅎㅎ
음 .. 4분음 4박.. ... 4분음이라는것은 4분음표(1박)있죠?
4분음표가 기준 박이라는 겁니다 .. ㅎ 한박이라는거죠
4박은 .. 한마디안에 4분음표가 4개 들어가있다는 소리죠 .. ㅎ
악보에서 한번 찾아서 .. 더하기(?) 해보세요 ㅎㅎ 그럼 .. 4박이 될겁니다 ㅎㅎ
그렴 4분음 2박은 아시겠죠 ? 밑에 분모가 .. 음표를 가리키는 겁니다 .
4분음표가 .. 한마디안에 2개 들어가 있다는 소리죠 ..
그럼 2분음 2박은 .. 뭘까요 ?
2분음표가 .. 머리에 검은 색이 안칠해져있는 ..ㅎ 음표가 ... 기준박이 되는거죠ㅎ (2박)
2분음표가 ... 한마디에 2개 들어가있다는 소리입니다 .. ㅎ
아시겠죠 ?
악보보는 방법은요 뭘 말하시는건지 모르겟네요 .. ㅎ 제가 이해한대로 설명할께요 ㅎ
도를 찾는 방법은 .. 피아노에 .. 검은색 건반이 .. 두개 있고 .또 뛰어져서 .. 3개 있죠 ?
검은색건반이 .. 2개 있는곳중에 왼쪽밑에 있는 하얀색건반이 도입니다. ㅎ그럼 도를 찾으실수 있겠죠 ? ㅎㅎ
일단 .. 높은음자리표와 . 낮은음 자리표가있어요 .. ㅎ
이 두 표는 ... 도자리가 달라요 .. 악보보는 법이 다른거죠 ㅎㅎ
높은 음자리표가 뭔지는 아시죠 ?
제일처음이 '도' 이고 그다음부턴 아시리라 생각됩니다 .ㅎㅎ
낮은음 자리표는요 ㅎㅎㅎ 음표가 다른게 아니라 ..
맨~ 앞에 .. 그림 다르죠 ? 그거랑 .. ㅎ '도' 자리만 다릅니다 ..
다 잇죠 ? 다가 .. 도입니다. ㅎㅎ
그럼 악보보실수 있겠죠 ?
샵이라는것은 .. # 아시죠 ? 이건 ... 반음 올려주시면되구요 ㅎㅎ
플랫은 .반음 내려주시면 되요 악보를 전혀 볼줄 모르신다면 독학으로 혼자 배우시는것이 쉽지 않을 수도있습니다~ 레슨을 받는것보다 습득하시는데 배로 시간이 들지요 피아노 학원에 가셔서 취미반으로 등록을 하시면 레슨비는 10~25만원 사이대로 생각하시면 됩니다만. 레슨비가 부담이 되신다면 독학으로 공부해 보는것도 좋습니다~!! 일단 바이엘이라는 기본교습용 책을 서점에서 구입하시고 천천히 연습해 보시면 됩니다.
우리가 흔히 피아노 건반에서 열쇠구멍 있는 위치의 도를 그냥 4/4 박자를 줄여서 C라고 쓰기도 합니다. http://blog.naver.com/kkoro21c/110033568407 자세한 내용이 더 보고 싶으시면 위의 블로그로 가시면 음표에 관한설명과 함께 자세하게 나와 있으니 참고하세요~
가온 다라고 부르고, 건반 중에서는 거의 중간쯤에 있습니다.
이 음이 바로 악보에서는
높은음자리표에서는 5줄 밑에 또 다른 한 줄을 그어서 거기 걸친 음을
가리킵니다.
낮은음자리표에서는 5줄 바로 위에 또 다른 한 줄을 그어서 거기 걸친
음을 가리킵니다.
즉, 위 악보에서 높은음자리표 5줄과 낮은음자리표 5줄을 서로 가까이 했을 때
사이에 1줄을 더 긋습니다. 그럼 총 11줄이겠죠?
아까 그은 1줄에 걸친 음이 바로 가온 다 입니다.
C반대로 되어있는 표시는 낮은음자리표라는 표시입니다.
주로 피아노에서는 왼손연주 악보로 많이 통하죠.
낮은음자리표에서의 계이름은 낮은음자리표에서 5줄이 있는데 아까 말한대로
위에 1줄을 더 그어서 거기에 걸친 음이 가온 다이고..
밑으로 내려오면서 도,시,라,솔,파,미,레,도 로 내려옵니다.
피아노 건반에서는 열쇠구멍의 가온 다에서 왼쪽으로 내려오죠.
그래서 낮은음자리표에서 맨 밑에서 2번째 칸은 가온 다에서 한 옥타브
낮은(피아노건반에서는 왼쪽) 도 입니다.
위의 악보에서는 중간에 검은 줄같이 보이는걸 기준으로 해서
그 줄 위쪽은 오른손, 밑쪽은 왼손을 치면 됩니다.
일단, 오른손은 시솔미 (#)파시솔 를 칩니다.
피아노 건반이
도레미파솔라시도레-미파솔라시도-레미파솔라시도
1-2-3-4-5-6-7-8-9-a-b-c-d-e-f-g-h-i-j-k-l-m 이런 순서이고
가온 다가 8번 도라고 했을 때,
오른손은 e,c,h, (#)i,e,j 를 칩니다.
왼손은 미미시 레미시 를 치는데
건반에서는 3,a,7, 2,a,7 로 치면 됩니다.
#은 샾이라고 하며 피아노 건반에서는 반음 올려서 흰 건반 바로 오른쪽의
검은 건반을 눌러주시면 됩니다.
b는 플랫이라고 하며 피아노 건반에서는 반음 내려서 흰 건반 바로 왼쪽의
검은 건반을 눌러주시면 됩니다.
단, 미 음에서 #이 있어서 반음 올리게 되면 '파' 흰 건반을 누르셔야 합니다.
도-레 사이는 온음이지만, 미-파 와 시-도 사이는 반음이기 때문이죠.
장조 아는 방법은 위 악보에서는 # 을 시로 보았을 때 도 음이
피아노 건반에서는 '솔' 음이 되죠?
도레미파솔라시
다라마바사가나 이기 때문에
여기서는 사장조 입니다.
한 가지 더 해보자면, #이 3개 붙는 악보에서 #이 파,도,솔에 3개 붙었죠.
그럼 맨 마지막에 붙은(맨 오른쪽 #) #이 솔이죠.. 그걸 시로 보는겁니다.
그럼 '도' 음은 피아노 건반에서는 라 음이 됩니다.
따라서 가장조 입니다.
아까 #에서는 시 음으로 보고 도를 찾았지만
플랫은 b에서 파 음으로 보고 도를 찾으시면 됩니다.
예를 들어서 조표에 b 1개일 경우엔 b 가 악보에서는 시에 붙었습니다.
b를 파로 보고 파미레도 차례대로 내려오면 악보에서 '파'음이 파미레도
내려온 음의 도가 됩니다.
따라서 바장조입니다.
연습만 조금 하신다면 쉽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.
장조는 도 음까지만 내려와서 찾으면 되지만,
단조는 라 음까지 내려와서 찾으시면 됩니다.
그리고, 악보 보는 연습은 아직 잘 모르시기 때문에
바이엘 상,하 부터 연습하세요~
기초부터 연습한다면 저런 악보는 쉽게 볼 수 있을 겁니다.니다. C 표시는 4/4 박자 맞습니다.
그리고, 우리가 흔히 피아노 건반에서 열쇠구멍 있는 위치의 도를
가온 다라고 부르고, 건반 중에서는 거의 중간쯤에 있습니다.
이 음이 바로 악보에서는
높은음자리표에서는 5줄 밑에 또 다른 한 줄을 그어서 거기 걸친 음을
가리킵니다.
낮은음자리표에서는 5줄 바로 위에 또 다른 한 줄을 그어서 거기 걸친
음을 가리킵니다.
즉, 위 악보에서 높은음자리표 5줄과 낮은음자리표 5줄을 서로 가까이 했을 때
사이에 1줄을 더 긋습니다. 그럼 총 11줄이겠죠?
아까 그은 1줄에 걸친 음이 바로 가온 다 입니다.
C반대로 되어있는 표시는 낮은음자리표라는 표시입니다.
주로 피아노에서는 왼손연주 악보로 많이 통하죠.
낮은음자리표에서의 계이름은 낮은음자리표에서 5줄이 있는데 아까 말한대로
위에 1줄을 더 그어서 거기에 걸친 음이 가온 다이고..
밑으로 내려오면서 도,시,라,솔,파,미,레,도 로 내려옵니다.
피아노 건반에서는 열쇠구멍의 가온 다에서 왼쪽으로 내려오죠.
그래서 낮은음자리표에서 맨 밑에서 2번째 칸은 가온 다에서 한 옥타브
낮은(피아노건반에서는 왼쪽) 도 입니다.
위의 악보에서는 중간에 검은 줄같이 보이는걸 기준으로 해서
그 줄 위쪽은 오른손, 밑쪽은 왼손을 치면 됩니다.
일단, 오른손은 시솔미 (#)파시솔 를 칩니다.
피아노 건반이
도레미파솔라시도레-미파솔라시도-레미파솔라시도
1-2-3-4-5-6-7-8-9-a-b-c-d-e-f-g-h-i-j-k-l-m 이런 순서이고
가온 다가 8번 도라고 했을 때,
오른손은 e,c,h, (#)i,e,j 를 칩니다.
왼손은 미미시 레미시 를 치는데
건반에서는 3,a,7, 2,a,7 로 치면 됩니다.
#은 샾이라고 하며 피아노 건반에서는 반음 올려서 흰 건반 바로 오른쪽의
검은 건반을 눌러주시면 됩니다.
b는 플랫이라고 하며 피아노 건반에서는 반음 내려서 흰 건반 바로 왼쪽의
검은 건반을 눌러주시면 됩니다.
단, 미 음에서 #이 있어서 반음 올리게 되면 '파' 흰 건반을 누르셔야 합니다.
도-레 사이는 온음이지만, 미-파 와 시-도 사이는 반음이기 때문이죠.
장조 아는 방법은 위 악보에서는 # 을 시로 보았을 때 도 음이
피아노 건반에서는 '솔' 음이 되죠?
도레미파솔라시
다라마바사가나 이기 때문에
여기서는 사장조 입니다.
한 가지 더 해보자면, #이 3개 붙는 악보에서 #이 파,도,솔에 3개 붙었죠.
그럼 맨 마지막에 붙은(맨 오른쪽 #) #이 솔이죠.. 그걸 시로 보는겁니다.
그럼 '도' 음은 피아노 건반에서는 라 음이 됩니다.
따라서 가장조 입니다.
아까 #에서는 시 음으로 보고 도를 찾았지만
플랫은 b에서 파 음으로 보고 도를 찾으시면 됩니다.
예를 들어서 조표에 b 1개일 경우엔 b 가 악보에서는 시에 붙었습니다.
b를 파로 보고 파미레도 차례대로 내려오면 악보에서 '파'음이 파미레도
내려온 음의 도가 됩니다.
따라서 바장조입니다.
연습만 조금 하신다면 쉽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.
장조는 도 음까지만 내려와서 찾으면 되지만,
단조는 라 음까지 내려와서 찾으시면 됩니다.